address mode

정해진 명령어의 비트들은 그 수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이다

큰 메모리를 지정하기 위하여 방법들이 있는데 그게 address mode이다

  1. 즉치

    프로그램에서 상수값으로 사용

    ex) Mov R1 #8H

    operand 안에 직접 값을 넣는다

    메로리로부터 데이터를 인출하는 과정이 필요없다

  2. 묵시적

    말 안해도 알아서 처리한다 즉 내포되어있다

    Sp 가 유효주소가 된다

    Asl 2 -> AC <- AC << 2

    accumulator가 표시되어있지 않아도 알아서 한다

  3. 직접

    opearand가 즉 유효주소가 된다

  4. 간접

    직접 주소 지정의 단점인 메모리의 표현 한계인데

    또 다른 주소 정보를 사용해서 더 큰 영역의 메모리 접근을 확보할수 있다

  5. 레지스터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가 레지스터에 저장되어있다

    opearand 내용이 레지스터 번호로 사용된다

    즉 메모리 접근할 필요가 없다

  6. 레지스터 간접

    operand에서 지정한 레지스터 내용이 메모리 주소 정보이다

  7. 변위

    offset 사용

    레지스터와 변위를 사용하여

    유효주소는 레지스터 내용에 변위를 합하여 계산된 결과이다

'컴퓨터구조,어셈블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Multicycle Implementation  (0) 2020.08.20
Mips (1)  (0) 2020.08.20
Exception Handling  (0) 2020.05.26
기본 개념(1)  (0) 2020.05.14
어셈블리 개발 환경 구축  (0) 2020.05.14

+ Recent posts